반응형


"100세 시대", 이제는 익숙한 단어가 되었죠. 평균수명과 기대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자연스레 노후에 대한 걱정이 앞서게 됩니다. 이유야 어찌 되었든 노후준비는 선택이 아닌 무조건적인 필수라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노후준비에 대한 인식이 많이 바뀌어서 노후대책을 위한 재테크를 젊었을 때부터 시작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필자는 30이 넘어서야 시작을 했더랬습니다. 


정년퇴직, 즉 생산활동이 마무리되는 시기를 보통 60세로 봅니다. 최소 20년에서 많게는 40년의 세월을 더 누려야 한다는 것인데요. 그래서 생산활동시기에 적극적으로 노후준비를 해야 한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소는 얼마나 준비를 했느냐입니다. 수입이 얼마 되지 않는다고, 하루먹고살기 바쁘다고 준비를 할 수 없다는 말은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지금 준비를 하지 않으면 불안한 노후는 불보듯 뻔하기 때문입니다.


없을 때, 힘들 때일수록 일찍 시작하는것이 좋습니다.


안정적인 노후준비를 위한 방법으로 국민연금과 개인연금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강제의무 국민연금


국민연금 말이 많습니다. 국민들로부터 신뢰를 잃기도 했지만 강제성을 가지고 있는 이것은 노후준비를 함에 있어 정말 필요한 것입니다.



30대 중반 이상인 분들은 자신들의 부모님을 보세요. 노후준비가 안되신 분들이 많으십니다. 못해서가 아닌 당신들의 자식들 뒷바라지로 인해 못했던 것입니다. 시대가 바뀌었습니다. 노후준비는 0순위입니다.


국민연금으로는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는 없지만 금액(실수령액)을 떠나 노후에 고정적인 수입이 있다는 점에 주목을 해야합니다.


은퇴설계


국민연금 더 받는 TIP


60세 이후 연장 신청

60세까지만 가입할 수 있는 국민연금이지만 60세가 되었을 때 가입기간이 10년 미만인 경우 연장 신청을 통해 10년을 채우는 것이 현명한 방법입니다. 또한 만 65세까지 추가 납입도 가능하기 때문에 생산활동을 하고 있거나 경제적인 여유가 있다면 추가납입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는 10년 이상 납부해야 연금형태로 수령이 가능합니다.


참고로, 퇴직연금은 2016년부터 의무가입 적용(300인 이상 근로자)이 시작되고 있습니다. 현재는 확대 시행중이고, 기존 퇴직금 제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연금제도입니다. 퇴직연금의 유형과 혜택을 파악 후 자신에게 맞는 것으로 준비를 해야합니다.


노후준비


안정적 노후준비는 개인연금


1. 투자실적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되고, 예금자보호, 원금이 보장되는 연금저축신탁(은행 운영)은 안정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한 상품입니다. 


2. 공격적이고 높은 수익률을 원하는 투자자들에게 적합한 연금저축펀드(금융권 운영)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지만 원금 손실의 위험이 있는 상품으로 금융시장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합니다.


3. 소득공제와 다양한 혜택이 있는 연금보험(보험사 운영)은 공시이율에 따라 결정되고, 예금자보호, 원금이 보장되는 안정적인 상품이지만 중도해지 시에는 원금손실이 있을 수 있습니다.


노후준비는 빨리 할수록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모든 사람들이 머지않은 미래에 풍족한 노후를 보내고 싶지만 방법을 모르거나 심각성을 몰라 준비를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제는 재무설계를 통해 재테크부터 노후준비까지, 자신에게 맞는 옷(포트폴리오)을 입어야 합니다. 


반응형